검색
학사안내
학사안내 > 교육과정 > 일반대학원과정
일반대학원과정
구분이수구분교과목1학기2학기
학점강의실습학점강의실습
석사영양학전공고급영양학특론(G60005)3333
석사영양학전공면역학(G60045)3333
석사영양학전공분자영양학특론(G60043)3333
석사영양학전공식품영양학연〮구방법론(G60046)3333
석사영양학전공영양생리학(G60044)3333
석사영양학전공영양역학(G600035)3333
석사영양학전공임상영양학특론(G60042)3333
석사식품학전공기능성식품학(G60047)3333
석사식품학전공단체급식특론(G60027)3333
석사식품학전공발효학(G60022)3333
석사식품학전공식품과문화(G60018)3333
석사식품학전공식품분리분석학특론(G60039)3333
석사식품학전공식품화학특론(G60019)3333
석사논문지도논문지도(G60004)22
석사공통과목생물통계학특론(G60002)3333
석사공통과목생화학특론(G60001)3333
석사공통과목식품영양세미나특론 Ⅱ(G60003)3333
교육과정 상세내용
고급영양학특론(G60005)
셍채내에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등의 대사과정과 작용, 영양소 상호간의 작용을 기본적으로 이해하고, 영양학분야에 있어서의 최근 연구 주제 및 동향을 공부한다.
기능성식품학(G60047)
천연물에 함유되어 있는 1차, 2차대사 산물의 분포와 그 화학적 구조 및 반응성에 대해서 강의하며 천연성분의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역할도 다룬다.
논문지도(G60004)
학위논문으로서 관심있는 주제를 정하여 연구계획, 자료수집, 연구방법 및 결과분석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토론하고 지도한다.
단체급식특론(G60027)
다양한 형태의 단체급식소에 대한 조직 분석과 생산체계분석을 통하여 최상의 급식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단체급식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면역학(G60045)
항원, 항체, 면역의 특성, 임파계, 세포성면역등 면역체계와 면역기전을 공부하며, 영양소 및 영양상태가 신체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공부한다. 면역 능력과 관련된 만성 퇴행성 질병과 영양과의 관계도 공부한다.
발효학(G60022)
식품의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특성, 미생물 효소, 발효 중에 일어나는 식품성분의 변화 및 각종 발효식품의 특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분자영양학특론(G60043)
분자생물학적 지식과 연구방법을 영양학의 연구에 적용하여 활용하는 방법에 관해서 공부한다.
생물통계학특론(G60002)
자연과학에서의 실험연구결과를 통계적으로 처리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생화학특론(G60001)
생명현상 중 특히 체내에서의 탄수화물, 핵산, 아미노산 및 지방산의 산화 기전 및 생합성 기전에 대하여 학습하고 물질대사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공부한다.
식품과문화(G60018)
인간이 식생활에 관계하는 생태문화, 역사, 먹이감의 소비, 경제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하나의 학문으로서 이해하도록 한다. 따라서 우리들의 식생활문화의 발생과 세계의 식생활 문화를 비교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국제화시대의 식생활에 대처할 수 있는 지식을 갖게 한다.
식품분리분석학특론(G60039)
Chromatography의 기본 개념 및 응용원리에 대하여 강의하며, 실습을 통하여 현재 이용되고 있는 각종 Chromatography 기법을 배운다.
식품영양세미나특론 Ⅱ(G60003)
식품과 영양학분야의 최신 논문을 발표, 토론하여 전문인으로서의 연구능력을 기른다.
식품영양학연〮구방법론(G60046)
식품영양학 전공 공부 및 실험, 연구에 있어서 필요한 기초 지식, 기술, 방법론 등에 대해서 강의한다.
식품화학특론(G60019)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색소, 방향성분 등의 화학적 구조, 성질, 수분활성도, 식품의 물성에 주는 영향, 조리가공중의 변화 등 식품화학을 심도 있게 학습한다.
영양생리학(G60044)
음식물의 섭취, 소화흡수, 대사, 배설 등의 일련의 생리적 과정, 섭취 음식물과 기관조직 세포간의 상호작용 및 그 조절 양상을 공부한다. 또한 체내 기관의 구조적 특성과 기능, 그에 따른 영양소의 대사와 조절, 기관 상호간의 대사적 특이성, 분담성 및 협조성 등에 대하여서도 공부한다.
영양역학(G600035)
질병과 식이 인자의 관계를 연구하는 영양역학의 원리를 이해하며, 영양학의 지식을 인류의 건강증진을 위해 실생활에 응용하는 방안을 공부한다. 역학연구의 원리와 이를 식이와 건강에 관한 역학적 연구에 응용하는 방안 및 적절한 자료 처리 방법을 공부한다.
임상영양학특론(G60042)
질병의 발병과 치료에 특히 영양 상태가 크게 영향을 끼치는 질환들에 관해 각 질병의 원인, 발생기전, 적절한 영양요법에 따른 치료 및 그 원리 등 질병과 영양상태에 따른 생체내의 변화를 병리학적 이론을 공부한다.